데스크에서/양산시청 기자실(브리핑룸)
편집장 최 철 근
웅상뉴스 기자 / 입력 : 2016년 07월 15일
개방형 브리핑룸 제도는 2003년부터 노무현 정부가 기자실을 개방하면서 브리핑룸과 송고실로 개편해 운영하는 제도이다. 개방형 브리핑제라고도 한다.
지난 2004년 3월 14일 이창동 문화관광부 장관은 정부 부처 기자실 개방 및 개방형 브리핑룸 제도 운영 기자의 사무실 임의 방문 취재 금지, 공무원의 기자 면담 내용 보고 의무화, 기사의 취재원 실명제를 주요 내용으로 하는 〈홍보업무 운영방안〉을 발표했다.
국가 부처별로는 2003년 4월 16일 문화관광부가 처음으로 기자실을 개방했다. 그리고 청와대, 정보통신부, 기상청, 기획예산처, 국세청, 해양수산부 등이 뒤따랐다. 8월에는 외교통상부가 윤영관 전 외교부 장관의 정례 브리핑을 시작으로 브리핑 제도를 도입했다. 9월 1일에 세종로 정부중앙청사, 대전 정부청사, 금융감독원이 기자실을 개방했다. 10월 1일에 국방부가 기자실을 브리핑룸으로 전환했다. 2004년 1월 1일에 정부 과천청사의 재정경제부와 산업자원부, 농림부, 공정거래위원회 등의 경제부처가 통합 브리핑룸을 열렸고, 건설교통부는 별도의 브리핑룸을 마련했다. 후에 노동부, 환경부, 과학기술처, 보건복지부가 기자실을 개방했다.
이렇게 우리나라에 기자실의 브리핑룸 제도가 생겨 난지 12~3년이라는 오랜 세월을 지났다.
우리 양산시청에도 그러한 기자실이 있다. 역시 개방형 브리핑룸으로 사용을 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양산시장, 시의회, 공무원 등 신성한 시정현안과 브리핑을 밝히는 자리로 사용되고 있으며 각 사회단체의 목소리를 담은 호소와 건의, 입장 표명 등 시민들에게 언론을 통해 알리기 위해 사용되어 왔다.
최근 양산시의회 한 시의원과 농협조합장과의 대립의 일환으로 기자회견을 하게 된 일이 생겼다. 그들 중 한 개인 본인이 사직서를 내게 된 것에 울분을 조합장의 차마 담지 못할 아무런 증거도 없는 사생활적 불륜 등을 내쏟아 놓는 기자회견이 있었다.
기자회견을 하는 본인 당사자도 기자들의 물음에 공금유용으로 사직서를 냈다고 죄를 인정하면서 범법자가 되려 증거조차 없는 보복에 가까운 폭로를 브리핑룸에서 하게 된 것인지 참으로 어이가 없다. 차라리 본인의 죄에 대해 해명했다면 받아들이는 기자들도 조금은 이해가 갔을 것이다. 게다가 양산시청업무하고는 전혀 관계없는 일을 가지고 와서, 무슨 명분으로, 공공적이고 도덕적이어야 할 기자회견이 마치 본인의 화풀이하는 자리가 되어 버렸다. 그것도 기자들에게 통보한 내용의 기자회견 예정자가 아닌 당일 다른 사람으로 바뀌어 혼란스러운 기자회견장이 됐다.
양산시청 브리핑룸이 기분 나쁜 사람들을 폭로하고 본인의 하소연하는 장이 되어버린, 어떻게 해서 이번에 이런 기자회견을 하게 됐는지 브리핑룸 운영자에게 묻고 싶다. 이렇게 된다면 앞으로도 누구나 무작위 사생활 폭로, 언론을 통해 평소의 기분 나쁜 사람 죽이기 등으로 기자실을 활용하게 될 것이다. 물론 각 언론사의 기자들은 보도를 하지 않으면 되는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신성한 브리핑룸이 그런 불미스러운 자리를 내주고 있다는 것이 문제라면 문제이다. 보도가 되지 않는다고 해도 그 자체만으로도 왜곡된 소문이 파다하게 전달될 수 있다. 이를 방조하는 기자실이 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경찰, 경찰, 국가권익위원회 등 우리나라에는 피해를 입거나 억울한 입장을 당한 경우 대신해서 밝혀 처벌을 해주는 기관들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분별없이 사법에 해당될 수 있는 엉터리 내용을 가지고 기자회견자리를 내준다면 브리핑룸의 품위를 떨어뜨리는 행위이다. 이런 식이라면 요즘 불경기에 혼란스럽고 먹고 살기조차 힘든 웅상사람들 대부분이 아마 브리핑룸에 서고 싶은 심정이다. 만약 웅상사람들 모두가 기자회견을 자청한다면 받아줄 수 있는지 의문이다.
아마 우리나라 역사에 범법자가 본인 죄를 인정하면서도 보복심리에서 잘못된 기자회견을 하는 일은 우리 양산밖에 없을 것이다. 설사 그 기자회견 내용이 사실이라고 한다고 해도 공공연히 명예훼손에 속하는 내용을 낭독하는 소리를 빤히 지키고 있어야 하는 기자들의 분위기는 무슨 뉘앙스인가.
아무리 가치관과 윤리와 도덕이 땅에 떨어졌다고 해도 양산시 기자실을 운영하는 분들이 미리부터 기자회견 요청자의 내용을 엄한 잣대로 심사하고 판단해야 해야 했다. 그러고 나서 기자회견장이 누구에게나 공정한 기회를 부여되고 건전한 사회를 지양하는 통로로서 사용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번 일로 양산시청 브리핑룸의 품위가 땅에 떨어지지 않았으면 하는 바람이다. |
웅상뉴스 기자 /  입력 : 2016년 07월 15일
- Copyrights ⓒ웅상뉴스(웅상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생활 정보
부동산
사람들
단체
따뜻한 이웃
지역행사 일정
|